티스토리 뷰
귀가 먹먹할 때는 귀의 기압이 주변의 기압과 다를 때나 귀에 염증이 생길 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행기를 타면 귀가 먹먹해지는 것처럼, 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이동할 때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코나 인후에 염증이 생기거나 돌발성 난청으로 인해서 한쪽 귀가 먹먹할 때가 있습니다. 이 외에 질병이나 일시적인 원인으로 귀가 먹먹해질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이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 |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e05000m01.do?mode=view&articleNo=10835881
여름철엔 외상성 고막파열과 급성 외이도염 주의보 | 국민건강보험
여름철엔 외상성 고막파열과 급성 외이도염 주의보 여름철엔 외상성 고막파열과 급성 외이도염 주의보 기상청은 올해 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역대급 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전망한 바
www.nhis.or.kr
목 차
1. 귀가 먹먹할 때 이유
2. 귀 먹먹함 해결
3. 결론
귀가 먹먹할 때 이유
1. 고도변화
비행기를 타거나 고산에 올라가는 등 고도가 급격히 변하면 귀의 기압이 조절되지 못하여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코와 입을 막고 바람을 세게 부는 동작을 하거나 씹거나 삼키는 동작을 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2. 귀지
귀에 귀지가 쌓이면 귀의 통로를 막아서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귀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증상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3. 이물질
귀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귀의 통로를 막아서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증상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4. 스트레스
스트레스로 인해 목근육이 긴장되면 혈액 순환에 영향을 주어서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5. 이관기능장애
코와 귀 사이에 연결된 부분에 문제가 생겨서 귀의 기압이 조절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코가 막히고 귀가 먹먹하고 목소리가 울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관 기능 장애의 증상은 경미한 것에서 심각한 것까지 다양할 수 있고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에 따라 한쪽 귀만 먹먹하기도 하고 심할 때는 두귀가 먹먹할 수도 있습니다.
6. 난청
귀의 기능이 저하되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귀가 먹먹하고 소리가 작게 들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난청의 원인은 다양하며, 치료를 미루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
7. 돌발성 난청
갑 자기 한쪽 귀의 청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상태입니다. 귀가 먹먹하고 이명이 생기는 증상이 있습니다. 돌발성 난청은 긴급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8. 이명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것처럼 느끼는 상태입니다. 귀가 먹먹하고 소리가 들리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명의 원인은 다양하며, 치료 방법도 다릅니다.
9. 외이도염
귀의 바깥 부분인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귀가 아프고 붓고 가려워지고 먹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10. 중이염
귀의 중간 부분인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귀가 아프고 붓고 먹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11. 내이염
귀의 안쪽 부분인 내이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입니다. 어지럼증, 청력 감소, 귀울림,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12. 메니에르병
메니에르병은 귀 안의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늘었다 줄었다 하는 것으로, 이 때문에 귀에 압력이 생겨 귀 먹먹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귀 먹먹함은 보통 어지럼증이나 청력 감소와 함께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13. 코질환
코에 염증이나 종양이 생기면 코와 연결된 부분에 영향을 주어서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14. 턱관절 문제
턱과 이를 지탱하는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턱과 연결된 부분에 영향을 주어서 귀가 먹먹해질 수 있습니다.
![]() |
![]() |
![]() |
귀 먹먹함 해결
귀가 먹먹한 상태는 일시적인 것일 수도 있고,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고도변화 해결
물비행기나 산악지대에서 공기압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 귀에 압력이 생기는 것으로, 귀가 먹먹하고 아프게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껌 씹기, 코를 막고 숨을 내쉬기, 하품하기, 귀마개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2. 귀지 해결
귀에서 분비되는 노란색 또는 갈색의 물질로, 귀를 보호하고 자연적으로 제거되지만 때로는 과다하게 생기거나 귀에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온수와 소금물로 세척하기, 올리브유나 베이비오일로 녹이기, 귀지 제거기 사용하기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귀지를 자주 제거하면 세균에 노출되어 중이염이나 외이도염 등에 감염될 수 있어서 오히려 귀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크고 딱딱한 귀지가 거슬릴 정도라면 이비인후과에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
3. 이물질 해결
귀에 작은 물건이 들어가거나 귀를 긁거나 만지는 것으로 인해 귀에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물건을 직접 빼려고 하지 않기, 귀를 기울여 물건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하기,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받기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스트레스 해결
심리적인 압박이나 부담감으로 인해 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스트레스 관리법, 호흡법, 명상, 운동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5. 이관기능장애 해결
해결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문제로, 코막힘, 비염, 알레르기, 감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코 세척, 비강 내 분무제, 환기관 삽입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6. 난청 해결
귀의 구조적 손상이나 기능적 장애로 인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으로, 나이, 소음, 외상, 유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보청기, 인공와우, 난청수술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7. 돌발성 난청 해결
청력이 갑자기 저하되는 증상으로, 바이러스 감염, 혈관 장애, 면역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항바이러스제, 혈류개선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치료나 고주파 치료, 하이퍼바릭 옥시젠 치료 등의 비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이명 해결
귀에서 들리는 소리가 없는 상황에서도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으로, 난청, 외부 소음, 스트레스,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음 마스킹, 치료적 음악, 인지행동치료, 치료적 요가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9. 외이도염 해결
귀 바깥쪽에 있는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귀에 물이 들어가거나 귀를 긁거나 만지는 것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항생제, 소염제, 진통제 등의 약물 치료나 외이도 세척, 외이도 튜브 삽입 등의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0. 중이염 해결
귀의 중간 부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폐렴구균 등의 세균과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항생제, 소염제, 진통제 등의 약물 치료나 천자주사, 중이절개술 등의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11. 내이염 해결
귀의 안쪽에 있는 내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바이러스 감염, 면역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내이염은 일반적으로 항생제나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염증을 치료하거나, 고막 절개술이나 귀 배액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 귀 안의 고름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어지럼과 구토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베나드릴이나 안티버트와 같은 약물을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12. 메니에르병 해결
해결 메니에르병으로 인한 귀 먹먹함 증상은 식사 조절과 약물 치료로 잘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소금을 적게 먹는 저염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로는 어지럼증을 줄이는 약이나 이명을 완화하는 약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심하거나 반복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13. 코질환 해결
코의 염증, 감염, 비중격 왜곡, 비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코 세척, 비강 내 분무제, 항생제, 비중격교정술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14. 턱관절문제 해결
턱과 두개골을 연결하는 관절에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턱을 꽉 다무는 습관, 잘못된 자세,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안면 마사지, 턱관절 운동, 안면 근육 이완법, 턱관절 교정기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
![]() |
![]() |
결 론
귀 먹먹함은 귀의 이관기능장애, 난청, 돌발성 난청, 이명, 외이도염, 중이염, 내이염, 메니에르병, 코질환, 턱관절문제, 스트레스 등의 질병과 관련된 귀 먹먹함과 고도변화, 귀지, 이물질 등 일시적인 귀 먹먹함이 있습니다. 귀의 먹먹한 상태가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보고 상황에 따라 귀가 먹먹할 때 대처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또한 귀가 먹먹할 때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귀에 이물질을 넣거나 세게 긁거나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소음이 심한 곳에서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귀에 관련된 질환에 대해 정기적으로 검진받는 것도 좋습니다.
이상으로 귀가 먹먹한 상태가 어떻게 생기는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건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
![]() |
![]() |
![]() |
![]() |
![]() |
![]() |
![]() |
![]()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main/mainPage/main.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국가건강정보포털
알고 싶은 신체 건강정보 신체 부위를 선택해주세요. 눈 질환 귀코목 질환 구강 질환 피부 질환 뼈근육 질환 정신건강 질환 뇌신경 질환 호흡기 질환 순환기 질환 소화기 질환 비뇨기 질환 생식
health.kdca.go.kr
목 차
1. 귀가 먹먹할 때 이유
2. 귀 먹먹함 해결
3. 결론
'365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와 증상, 극복 (1) | 2023.08.11 |
---|---|
비행기 귀먹먹 통증은 항공성 중이염때문? (1) | 2023.08.07 |
귀에 물찬느낌과 안전하게 물빼는법 (0) | 2023.08.05 |
길고양이도 감염 SFTS, 살인 진드기에 물렸을 때 (2) | 2023.08.03 |
고양이 조류독감 (0) | 2023.08.01 |